F1 그랑프리 규칙과 용어
F1 규칙
1. 역사 : F1은 1950년에 창설되었습니다. 그 해, 첫 번째 F1 월드 챔피언십 시즌이 시작되었으며, 영국 그랑프리가 첫 번째 레이스로 개최되었습니다. 초기 F1은 유럽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습니다. 그랑프리 경기는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등의 다양한 국가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알베르토 아스카리, 잭 브래먼, 호세 곤잘레스 등 초기의 유명 드라이버들이 등장했습니다. F1은 기술 혁신의 장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차량의 디자인, 엔진, 타이어, 에어로 다이내믹스 등에 대한 지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졌습니다. 1960년대에는 알루미늄 합금 차체와 공기 역학적 개선이 이뤄졌으며, 1970년대에는 전동 터보 차저 등의 기술이 도입되었습니다. 현재는 하이브리드 시스템과 카본 파이버 구조물 등의 혁신적인 기술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F1은 1970년대와 1980년대를 통해 국제적인 인기를 끌게 되었습니다. 이후 세계 각지에서 그랑프리 경기가 개최되었습니다. 2004년에는 중국과 바레인에서도 경기가 개최되며, 현재는 아시아, 중동, 유럽, 아메리카 등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그랑프리가 진행됩니다. F1은 매년 챔피언십을 통해 우수한 드라이버와 팀을 선정합니다. 드라이버 및 팀 챔피언십은 각 시즌의 경기 결과에 따라 산출됩니다. 페라리, 맥라렌, 메르세데스, 레드 불 등 다양한 팀들 간의 경쟁이 펼쳐지며, 챔피언십을 향한 치열한 경쟁이 진행됩니다. F1은 안전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적극적인 안전장치 도입, 트랙의 안전성 강화, 드라이버 보호장치 등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함께 TV 중계, 스트리밍 서비스 등을 통해 전 세계로 F1 경기를 시청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F1은 긴 역사를 가진 고급스러운 모터스포츠로, 세계적으로 많은 팬들이 열광하고 경기를 즐기고 있습니다. 역사의 변천과 기술 혁신, 전설적인 드라이버, 치열한 경쟁 등 다양한 요소가 F1의 매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2. 트랙 : F1 경기 트랙은 다양한 유형이 있습니다. 일부는 도로 서킷(Street Circuit)으로 도시의 공공도로를 이용하여 구성되며, 일부는 서킷(Circuit)이라고도 알려진 트랙으로 전용 경기장에서 직접 건설됩니다. F1 트랙은 다양한 곡선과 직선 구간으로 구성됩니다. 곡선은 다양한 반지름과 난이도를 가지며, 주행 기술과 차량 제어 능력이 시험되는 부분입니다. 직선은 고속 주행이 가능한 구간으로서 차량의 최고 속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각 트랙의 길이는 다양하며, 일부는 짧은 트랙이 있을 수도 있고, 일부는 매우 긴 트랙일 수도 있습니다. 길이에 따라 주행 전략과 타이어 관리 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F1 트랙의 표면은 다양한 재료로 구성되며, 주로 아스팔트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트랙은 콘크리트나 다른 유형의 표면으로 구성되기도 합니다. 표면의 상태는 주행 성능에 영향을 미치며, 경주 중에도 트랙 조건이 변할 수 있습니다. 일부 F1 트랙은 고도 변화가 큽니다. 고도 변화는 경주에 추가적인 도전 요소를 제공하며, 차량의 타이어 그립과 주행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F1 트랙은 여러 주행 영역으로 구성됩니다. 일부 영역은 초록색 표시로 트랙의 경계를 나타내며, 주행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페널티를 받을 수 있습니다. 트랙 영역에는 주행선, 커브, 브레이크 구간, 가속 구간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F1 트랙에는 주행 영역과 별도로 피트 레인이 포함됩니다. 피트 레인은 차량이 피트 스탑을 수행하고 차량 조정과 타이어 교체를 위해 들어가는 구간입니다. F1 트랙에는 안전을 위한 구역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구역은 사고 발생 시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차량이 추돌하거나 사고가 발생했을 때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3. 규칙
* 차량 규칙 : F1에서는 참가하는 차량이 특정한 규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차량은 최대 1,000kg의 최소 중량을 가져야 하며, 차체와 엔진의 설계, 에어로 다이내믹스, 타이어 등에 대한 규정이 있습니다. 차량은 타이어와 연료의 교체를 위해 피트 스탑을 할 수 있습니다.
* 그리드 포지션 : 예선 라운드에서의 경쟁 결과에 따라 출발 그리드에 차량들이 위치합니다. 예선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면 출발 그리드의 상위 위치에서 출발할 수 있습니다. 예선 결과에 따라 상위 차량이 앞에 위치하게 되며, 경쟁력이 있는 포지션을 차지할 수 있습니다.
* 경기 진행 : F1 경기는 본 경주에서 일정한 거리를 달리면서 경쟁을 벌입니다. 경주 중에는 전략적인 피트 스탑, 타이어 교체, 연료 보충, 차량 조정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경주 도중에는 경쟁 차량과의 오버테이크를 시도하고, 이를 방어하며 경쟁을 벌입니다.
* 피트 스탑 : 피트 스탑은 경주 도중에 차량이 피트로 진입하여 타이어 교체, 연료 보충, 조정 등을 수행하는 작업입니다.
피트 스탑은 팀이 전략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시기로, 타이어의 성능, 연료 소비량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피트 스탑 시간은 제한되어 있으며, 크루들이 원활하게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 불공정한 운전 : F1에서는 불공정한 운전이나 규칙 위반을 방지하기 위한 규정이 있습니다. 경쟁 차량과의 접촉, 장애물로의 의도적인 충돌, 트랙을 벗어나는 등의 행위는 불공정하다고 간주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경고, 시간 감점, 페널티, 심지어 경주 제명 등으로 징계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시즌 챔피언십 : F1 시즌 챔피언십은 경기 결과에 따라 드라이버와 팀에게 포인트가 주어지며, 시즌 종료 시 가장 많은 포인트를 획득한 드라이버와 팀이 챔피언이 됩니다.드라이버와 팀은 각 경기에서 얻은 포인트를 누적하여 시즌 챔피언십 경쟁에 참여합니다.
* 득점 방식 : F1에서는 드라이버 및 팀이 경기 결과에 따라 포인트를 획득합니다. 드라이버 및 팀 챔피언십에서는 경기 결과에 따라 드라이버와 팀이 포인트를 받습니다. 경기 결과에 따라 상위 순위를 차지한 드라이버와 팀이 더 많은 포인트를 획득하게 되며, 시즌 종료 시 가장 많은 포인트를 획득한 드라이버와 팀이 챔피언이 됩니다.
4. 경기방식 : F1 경기는 일반적으로 그랑프리 주말에 진행됩니다. 그랑프리 주말은 연습 세션, 예선 라운드 및 본 경주로 구성됩니다. 그랑프리 주말의 첫 번째 날에는 연습 세션이 진행됩니다. 이 세션에서는 드라이버들이 트랙에 익숙해지고 차량 설정을 조정합니다. 프리 프랙티스 1과 프리 프랙티스 2로 나뉘며, 각각 1시간 30분 동안 진행됩니다. 그랑프리 주말의 두 번째 날에는 예선 라운드가 진행됩니다. 이 라운드에서 드라이버들은 출발 그리드에서의 출발 위치를 결정합니다. 예선 라운드는 일반적으로 3 부분으로 나누어져 진행됩니다. (Q1, Q2, Q3.). Q1에서는 모든 참가자가 경쟁하며, Q2에서는 상위 경쟁자들만 진출하여 경쟁을 이어갑니다. Q3는 최종 예선 라운드로, 최상위 경쟁자들만 참여하여 출발 그리드의 상위 위치를 다툽니다. 그랑프리 주말의 세 번째 날에는 본 경주가 개최됩니다. 본 경주에서는 드라이버들이 일정한 거리를 달리면서 경쟁을 벌입니다. 본 경주는 일반적으로 그랑프리의 이름을 따라 명명되며, 그랑프리에서 개최되는 횟수에 따라 일정한 랩 수로 진행됩니다.
5. 차량 : F1 차량은 경량화되고 고강도의 재료로 제작됩니다. 차체는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고 최대한의 다운포스(압력)를 발생시키기 위해 고압력과 저항을 최적화한 디자인으로 제작됩니다. F1 차량은 고성능 엔진을 사용합니다. 현대적인 F1 차량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으며, V6 터보 엔진을 기반으로 구동됩니다. 엔진은 고속 회전과 최대 출력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전력과 토크의 균형을 유지해야 합니다. F1 차량은 타이어의 성능에 크게 의존합니다. 경기 중에는 차량의 속도, 주행 조건, 타이어 마모 등을 고려하여 타이어를 선택합니다. 차량은 거의 항상 슬릭 타이어(표면이 매끄러운 타이어)를 사용하며, 날씨 조건에 따라 다른 강도의 타이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F1 차량은 고성능의 에어로 다이내믹스(공기 역학)를 갖추고 있습니다. 차체의 다양한 요소들은 공기 저항과 다운포스를 최적화하기 위해 디자인되었습니다. 앞 날개, 뒷 날개, 사이드 팟, 바닥 등 다양한 부분이 에어로 다이내믹스를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F1 차량은 고성능 제동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차량은 고속에서도 안정적으로 제동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제동 시스템은 차량의 속도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안전과 성능을 보장합니다. 스티어링 휠은 드라이버가 차량을 조종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스티어링 휠에는 다양한 컨트롤과 조작 장치들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드라이버는 가속, 제동, 변속 등을 조절하며, 차량의 퍼포먼스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합니다.
F1 용어
1. 그랑프리 (Grand Prix) : F1에서 개최되는 공식 레이스를 말합니다. 각 그랑프리는 특정 국가나 도시에서 개최됩니다.
2. 피트 스탑 (Pit Stop) : 경주 중 차량이 피트로 들어가서 타이어 교체, 연료 보충, 조정 작업 등을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3. 포지션 (Position) : 레이스 중에 각 차량이 차지하고 있는 순위나 위치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1위 포지션"은 선두에 있는 차량을 의미합니다.
4. 퀄리파잉 (Qualifying) : 그랑프리 전에 시행되는 세션으로, 차량의 주행 시간을 측정하여 출발 순서를 결정하는 과정입니다.
5. 스타트 그리드 (Starting Grid) : 레이스 시작 시 차량들이 위치하는 출발 지점을 의미합니다.
6. 라이벌 (Rival) : 경쟁 상대로서, 다른 드라이버나 팀과의 경쟁을 의미합니다.
7. 플랩 (Flap) : 한 바퀴 도는 데 걸린 시간을 나타내는 용어로, 빠른 속도와 경쟁력을 나타냅니다.
8. 슬릭 타이어 (Slick Tire) : 비가 오지 않은 건조한 날씨에서 사용되는 타이어로, 표면이 매끄럽고 그립력이 높습니다.
9. 웨트 타이어 (Wet Tire) : 비나 젖은 트랙에서 사용되는 타이어로, 우수한 방수성과 트랙에서의 그립력을 제공합니다.
10. 퍼스트 커브 (First Corner) : 레이스 시작 직후의 첫 번째 커브를 의미합니다. 이 부분에서 차량들 간의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집니다.
11. 트랙 리미트 (Track Limit) : 트랙을 벗어나거나 경계선을 넘어설 경우를 말합니다. 트랙 리미트를 어기면 페널티를 받을 수 있습니다.
12. 리어 윙 (Rear Wing) : 차량의 뒷부분에 설치된 날개로, 공기 저항을 증가시키고 다운포스를 발생시켜 차량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13. 파워 유닛 (Power Unit) : F1 차량의 주요 동력원으로, 엔진과 연료 시스템, 하이브리드 기술 등을 포함합니다.
14. 디프러서 (Diffuser) : 차량의 후면에 설치된 공기 역학 장치로, 차체 아래의 공기 흐름을 효율적으로 다루어 다운포스를 증가시킵니다.
15. DRS (Drag Reduction System) : 경쟁 차량 사이의 거리를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으로, 특정 구역에서 리어 윙을 개방하여 공기 저항을 감소시킵니다.
16. DNF (Did Not Finish) : 경주를 완주하지 못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기계 고장, 사고 등으로 인해 레이스를 중도 포기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17. 페널티 (Penalty) : 규정을 위반하여 받는 벌칙으로, 시간 추가, 그리드 강등, 피트 스탑 등 다양한 형태로 부과될 수 있습니다.
18. 스튜어드 (Steward) : 레이스 중 경기 규정을 감독하고 판단하는 심판이나 책임자를 의미합니다.
19. 리더보드 (Leaderboard) : 경주 중 현재 순위와 타임 차이, 팀 정보 등이 표시되는 대시보드를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