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규칙과 용어 - 배구

배구의 규칙과 용어

배구 규칙

1. 경기장 : 배구 경기장은 직사각형 모양의 코트로 구성됩니다. 규격은 국제 기준으로 길이 18m, 폭 9m로 정해져 있습니다. 코트는 중앙에 높이 2.43m의 네트가 있는 선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2. 팀과 선수 : 배구 경기는 두 팀으로 진행됩니다. 각 팀은 6명의 선수로 구성되며, 앞서 선정된 서브 순서에 따라 공격과 수비를 번갈아 가며 진행합니다. 팀은 여분의 선수들을 대기시켜 교체할 수 있습니다.

 

3. 서브(Serve) : 경기는 서브로 시작됩니다. 서브는 공을 네트를 넘어 상대 팀에게 넘기는 행위를 말합니다. 서브는 서브 구역 내에서 수평으로 향하는 규칙에 따라 공을 치는 동작으로 이루어집니다.

 

4. 리시브(Receive) : 상대 팀의 서브에 대해 네트를 넘어오는 공을 받는 행위를 말합니다. 리시브는 공을 정확하게 컨트롤하여 팀 내로 넘겨야 합니다.

 

5. 세트(Set) : 리시브를 받은 후, 세터가 공을 높게 띄워 공격 선수가 스파이크를 칠 수 있도록 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세트는 정확하고 조절된 손목과 손의 동작으로 이루어집니다.

 

6.스파이크(Spike) : 공격 선수가 상대 팀의 수비를 뚫고 공을 세게 내리치는 공격 기술을 말합니다. 스파이크는 빠른 속도와 강력한 힘을 가진 공을 상대 팀에게 도달하게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7. 블록(Block) : 상대 팀의 스파이크를 막기 위해 수비 선수가 네트 위로 팔을 뻗어 공을 가로막는 방어 기술을 말합니다. 블록은 공을 상대 팀의 코트로 다시 되돌리는 효과를 가지며, 팀의 수비력을 강화합니다.

 

8. 터치(Touch) : 공이 선수의 몸 또는 장비에 닿은 것을 말합니다. 한 선수는 공에 최대 세 번까지 터치할 수 있으며, 터치는 리시브, 세트, 스파이크, 블록 등으로 이루어집니다.

 

9. 포인트(Point) : 포인트는 공격 팀이 상대 팀의 실수로 인해 득점한 경우입니다. 상대 팀의 아웃, 넷 터치, 터닝 오버 등으로 인해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10. 아웃(Out) : 공이 경기장을 벗어난 경우 아웃으로 판정됩니다. 공이 경계선을 벗어나거나 천장에 닿는 경우, 또는 넷 아웃(넷을 넘어갔다가 넷 위로 돌아오는 경우) 등이 아웃으로 판정됩니다.

 

11. 넷터치(Net Touch) : 선수가 넷에 닿은 경우 넷터치로 간주됩니다. 넷터치는 넷에 손이나 다른 부분이 닿는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넷터치가 발생하면 상대 팀에게 포인트가 주어집니다.

 

12. 교체(Substitution) : 팀은 플레이 중에 선수를 교체할 수 있습니다. 교체는 팀 간에 서브를 받은 직후, 또는 세트 사이에 이루어집니다.

 

13. 타임 아웃(Time-out) : 팀은 정해진 횟수 내에서 타임 아웃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타임 아웃은 팀이 전략을 조율하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시간입니다.

 

14. 셋(Three Sets) 또는 오거 세트(Five Sets) : 경기는 최대 세트 수에 도달하면 종료됩니다. 일반적으로 세트 당 25점을 먼저 달성한 팀이 승리하게 됩니다. 최종 세트에서는 15점을 먼저 달성한 팀이 승리합니다.

 

15. 듀스(Deuce) : 세트에서 양 팀의 점수가 24-24가 될 경우 듀스 상황이 발생합니다. 듀스에서는 한 팀이 2점 차이를 내기 전까지 경기가 계속됩니다.

 

16. 터닝 오버(Turning Over) : 공격 팀이 공을 상대 팀에게 잃어버리는 상황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서브 오류, 아웃, 넷터치 등이 터닝 오버로 간주됩니다. 터닝 오버가 발생하면 상대 팀에게 서브 기회가 주어집니다.

 

17. 휴스턴 스텝(Houston Step) : 공격 선수가 공을 받은 후, 한 발로 앞으로 전진하며 공을 스파이크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휴스턴 스텝은 더욱 강력한 스파이크를 가능하게 합니다.

 

18. 리버스 스파이크(Reverse Spike) : 스파이크를 할 때, 공을 내리치는 방향을 예상하기 어려운 상대 팀을 속이기 위해, 팔을 뻗어 반대 방향으로 공을 치는 기술을 말합니다.

 

농구 용어

1. 서브(Serve) : 경기가 시작될 때나 점수를 따낸 후 공을 네트를 넘어 상대 팀에게 넘기는 행위를 말합니다. 서브는 공을 손으로 들어 올린 뒤, 라켓으로 공을 치는 동작으로 이루어집니다.

2. 리시브(Receive) : 상대 팀의 서브에 대해 네트를 넘어오는 공을 받는 행위를 말합니다. 리시브는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공을 제어하여 팀 내로 넘겨야 합니다.

3. 세트(Set) : 리시브를 받은 후, 세터가 공을 높게 띄워 공격 선수가 공을 칠 수 있도록 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세트는 정확하게 손목과 손을 사용하여 공을 조절합니다.

4. 스파이크(Spike) : 공격 선수가 상대 팀의 수비를 뚫고 공을 세게 내리치는 공격 기술을 말합니다. 스파이크는 높은 위치에서 강력하게 공을 내리치는 것이 목표입니다.

5. 블록(Block) : 상대 팀의 스파이크를 막기 위해 수비 선수가 네트 위로 팔을 뻗어 공을 가로막는 방어 기술을 말합니다. 블록은 상대 팀의 공을 되돌리는 효과가 있으며, 팀의 수비력을 강화합니다.

6. 디그(Dig) : 상대 팀의 스파이크나 강한 공을 땅에 닿기 전에 수비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디그는 공을 손으로 받아 정확하게 넘기는 기술을 요구합니다.

7. 토스(Toss) : 공격을 위해 공을 높게 띄우는 동작을 말합니다. 토스는 공격 선수가 스파이크를 치기 위한 준비를 할 수 있게 해줍니다.

8. 덤프(Dump) : 세트를 받은 세터가 예상치 못한 순간에 공을 상대 팀 코트에 높게 띄우는 대신, 근접한 지점에 공을 놓는 행위를 말합니다. 덤프는 상대 팀을 속이고 공격적인 플레이를 할 수 있는 전략입니다.

9. 리바운드(Rebound) : 상대 팀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 공을 되찾는 행위를 말합니다. 리바운드는 수비력과 반응속도가 필요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10. 터치(Touch) : 공에 손, 팔, 다리 등을 이용하여 닿는 것을 말합니다. 배구에서는 한 선수가 한 번의 터치로 공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11. 파울(Foul) : 규칙을 위반한 행위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넷을 넘어가는 스파이크, 다른 선수를 방해하는 행위 등이 파울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12. 포인트(Point) : 공격 팀이 상대 팀의 실수로 인해 득점한 경우를 말합니다. 상대 팀의 아웃, 넷 터치, 파울 등으로 인해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13. 아웃(Out) : 공이 경기장을 벗어난 경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공이 경계선을 벗어나거나 천장에 닿는 경우가 있습니다.

14. 타임 아웃(Time-out) : 팀은 일정한 횟수 내에서 타임 아웃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타임 아웃은 팀이 전략을 조율하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시간입니다.

15. 셋(Three Sets) 또는 오거 세트(Five Sets) : 경기는 최대 세트 수에 도달하면 종료됩니다. 일반적으로 세트 당 25점을 먼저 달성한 팀이 승리하게 됩니다. 최종 세트에서는 15점을 먼저 달성한 팀이 승리합니다.

16. 휴스턴 스텝(Houston Step) : 공격 선수가 공을 받은 후, 한 발로 앞으로 전진하며 공을 스파이크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휴스턴 스텝은 더욱 강력한 스파이크를 가능하게 합니다.

17. 리버스 스파이크(Reverse Spike) : 스파이크를 할 때, 공을 내리치는 방향을 예상하기 어려운 상대 팀을 속이기 위해, 팔을 뻗어 반대 방향으로 공을 치는 기술을 말합니다.